집단이기주의 그리고 물질만능사상이 고개를 빳빳이 세우고 자랑스러운 얼굴을 하고 있는 지금 우리가 에둘러 외면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늘을 가리는 빌딩의 숲속에서 나지막히 햇빛조차 받지 못하고 빌딩의 그림자와 함께 인생의 그늘이 깊이 패인 주름에 영글어 있는 고단함을 가진 사람들, 가족을 위해 자신을 위해 일이 하고 싶지만 변변한 직장도 없고 그렇다고 간단한 장사 조차도 힘든 3세계 국가의 사람들등 가난과 빈곤은 더욱 깊어 가고 있지만 관심을 가지기 보다는 그들을 죄악시 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우리 세대가 경험하지 못해 실감은 못하지만 '보릿고개'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에겐 빈곤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말은 지금 추억이 되었고 우리 다음 세대에겐 흔적없는 발자취일 뿐입니다. 우리 모두는 빈곤과 가난에 대하여 엄청난 거부감과 다시는 빠져 들고 싶지 않은 수렁텅이입니다. 그렇지만 지금과 같은 풍요의 시대에 빈곤층은 더욱 늘어 나고 있습니다. 이른바 '신빈곤층'이라고 불리우며 가진 자들은 암적인 존재로만 여기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반대로 있는 자와 없는 자들을 연결시켜 그 차이를 없애기 위한 노력은 시대별 상황에 맞추어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가난은 나랏님도 구제하지 못한다'는 말이 있듯이 그 노력만큼이나 만족만할 결과를 얻지 못하고 실패로 끝난 경우가 역사적으로도 허다합니다.
19세기경 산업혁명으로 자본주의가 발달하고 모든 영국인들이 잘 살 줄 알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부자가 급속도록 느는만큼 빈민들도 늘어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영국정부에서는 '빈민구제법'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비용이 커지게 되자 의회에서는 빈민구제를 중단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그 당시 많은 경제학자들이 빈민들에게 보조금을 주는 것이 빈민을 더욱 어렵게 한다는 주장을 하기도 했구요. 하지만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이라는 경제학자는 그런 주장에 반대하며 "아무리 힘이 없고 그 수가 적은 빈민이라 할지라도 그들 역시 행복해질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빈민구제에 국가와 있는 자들이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것은 밀이 벤담의 '공리주의 철학'에 많은 영향을 받았기 때문인데요. 이렇듯 빈민구제에 대한 논쟁은 오래전부터 그 효율성에 대하여 많은 논쟁이 있어 왔습니다.
<블루 스웨터>는 저자인 재클린 노보그라츠<Jacqueline Novogratz>의 체험에 바탕을 둔 빈민구제 사업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빈민들이 처한 현실과 더불어 이들의 삶이 얼마나 아름답고 용기 있고 가치 있는 것인가를 전하는 이야기가 담긴 책입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는 자서전을 그리 좋아하진 않습니다. 절대 풀어 볼 수 없는 선물상자를 겉에서만 판별하는 것과 같은 기분이 들어서 입니다. 한번은 한 정치가의 자서전을 선물받아 읽다가 더러운 자기 미화의 말만 계속되길래 몇장 읽다가 쓰레기통에 처박아 버린 일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자 재클린은 자신의 삶에 조명을 비추기 보다는 그녀에게 도움을 받아 삶에 희망을 가지게 된 많은 이들의 이야기를 책속에서 담담하게 풀어 나갑니다.
그녀의 구호사업과는 거리가 있을 것같은 <블루 스웨터>라는 제목은 그녀가 우리에게 말하려고 하는 모든 것들이 담긴 상징적인 의미입니다. 저자가 고등학교때 어떤 일로 버린 파란색 스웨터가 10여년뒤 지구 반대편인 르완다의 한 곳에서 한 소년이 입고 있는 걸 발견하고 모든 세계인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이웃임을 경험하게 되어 저자가 구호사업에 발을 들여놓게 되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그녀는 회사에서 인정을 받은 전도유망한 금융가로서 편안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하지만 남들이 꺼리는 제3세계 구호사업에 뛰어들어 수많은 업적을 세워 나갑니다. 돈과 빈곤의 연결고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래서 그녀가 생애를 바친 구호사업은 물고기를 잡아 나눠 주는 역활이 아니라 물고기 잡는 법을 전수하여 각각에게 독립적인 경제생활을 이루게 하고 고용을 늘려나가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게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책에 언급된 두테림베레, 블루베이커리, 어큐먼펀드등은 그녀가 이룩한 수많은 업적들중 겉으로 들어난 일일뿐일 것입니다. 그녀가 완성시켜 나가려는 일은 모든이가 함께 어울려 살아 가며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상호 협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세계인이 깨닫게 하는 작업일 것입니다. 전혀 다른 풍습과 생각을 가진 이들과 수차례의 시행착오를 겪고 좌충우돌하며 사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이야기엔 정작 저자의 이야기보다는 함께하고 노력과 열정의 땀을 공유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서술하고 있어 더욱 공감이 갑니다.
우리는 종종 기업이 거둔 이익을 사회로 환원한다는 이야기를 메스컴을 통해서 듣곤 합니다. 기부와 자선을 무시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들이 있기에 저자도 각종 사업을 펼칠 수 있었으니까요. 하지만 주면 그만이라는 생각보다는 어떻게 하면 좀 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자원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가난은, 빈곤은 부유함에 필연적으로 따라 다니는 현상입니다. 그것이 절대적이든 상대적이든 외면한다고 없어 지는 것이 아니라 부를 가진 이들이 관심을 가지고 눈여겨 보아야 할 상대일 것입니다. 죄도 아니고 동정의 대상이 되어서도 안 될 것입니다. '노블리스 오블리제'가 결여된 한국사회에서 빈곤이 관심의 덕목으로만 생각돼 있지만 저자와 같은 사랑의 관심이 있다면 세상은 변화의 시작을 알려 줄 것입니다.
어학연수 갔다와서, 사회봉사 점수 따고, 적당히 괘찮은 직장을 얻어 애낳고 살다가 병들어 죽는 삶이 가장 편하다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이 책을 읽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주식이나 부동산등으로 재테크하는 방법을 써놓은 책이 알맞을 것입니다. 하지만 가치있는 삶을 살아 보려 고민한다면 <블루 스웨터>는 여러분들에게 참 된 메시지를 전해 주리라 생각됩니다. 모두가 구호사업에 뛰어 드는 것만이 가치있다는 건아닙니다. 세상의 모든 숨쉬는 것들이 나에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고 '손에 손잡고' 자신의 꿈을 세상의 꿈으로 만들어 보려는 생각이 있다면 저자 재클린 노보그라츠의 삶에서 한번쯤 나자신의 미래를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어 금(金)으로만 지향한 삶의 후회를 줄일 수 있을것입니다.
우리 세대가 경험하지 못해 실감은 못하지만 '보릿고개'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에겐 빈곤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말은 지금 추억이 되었고 우리 다음 세대에겐 흔적없는 발자취일 뿐입니다. 우리 모두는 빈곤과 가난에 대하여 엄청난 거부감과 다시는 빠져 들고 싶지 않은 수렁텅이입니다. 그렇지만 지금과 같은 풍요의 시대에 빈곤층은 더욱 늘어 나고 있습니다. 이른바 '신빈곤층'이라고 불리우며 가진 자들은 암적인 존재로만 여기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반대로 있는 자와 없는 자들을 연결시켜 그 차이를 없애기 위한 노력은 시대별 상황에 맞추어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가난은 나랏님도 구제하지 못한다'는 말이 있듯이 그 노력만큼이나 만족만할 결과를 얻지 못하고 실패로 끝난 경우가 역사적으로도 허다합니다.
19세기경 산업혁명으로 자본주의가 발달하고 모든 영국인들이 잘 살 줄 알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부자가 급속도록 느는만큼 빈민들도 늘어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영국정부에서는 '빈민구제법'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비용이 커지게 되자 의회에서는 빈민구제를 중단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그 당시 많은 경제학자들이 빈민들에게 보조금을 주는 것이 빈민을 더욱 어렵게 한다는 주장을 하기도 했구요. 하지만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이라는 경제학자는 그런 주장에 반대하며 "아무리 힘이 없고 그 수가 적은 빈민이라 할지라도 그들 역시 행복해질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빈민구제에 국가와 있는 자들이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것은 밀이 벤담의 '공리주의 철학'에 많은 영향을 받았기 때문인데요. 이렇듯 빈민구제에 대한 논쟁은 오래전부터 그 효율성에 대하여 많은 논쟁이 있어 왔습니다.
<블루 스웨터>는 저자인 재클린 노보그라츠<Jacqueline Novogratz>의 체험에 바탕을 둔 빈민구제 사업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빈민들이 처한 현실과 더불어 이들의 삶이 얼마나 아름답고 용기 있고 가치 있는 것인가를 전하는 이야기가 담긴 책입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는 자서전을 그리 좋아하진 않습니다. 절대 풀어 볼 수 없는 선물상자를 겉에서만 판별하는 것과 같은 기분이 들어서 입니다. 한번은 한 정치가의 자서전을 선물받아 읽다가 더러운 자기 미화의 말만 계속되길래 몇장 읽다가 쓰레기통에 처박아 버린 일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자 재클린은 자신의 삶에 조명을 비추기 보다는 그녀에게 도움을 받아 삶에 희망을 가지게 된 많은 이들의 이야기를 책속에서 담담하게 풀어 나갑니다.
그녀의 구호사업과는 거리가 있을 것같은 <블루 스웨터>라는 제목은 그녀가 우리에게 말하려고 하는 모든 것들이 담긴 상징적인 의미입니다. 저자가 고등학교때 어떤 일로 버린 파란색 스웨터가 10여년뒤 지구 반대편인 르완다의 한 곳에서 한 소년이 입고 있는 걸 발견하고 모든 세계인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이웃임을 경험하게 되어 저자가 구호사업에 발을 들여놓게 되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그녀는 회사에서 인정을 받은 전도유망한 금융가로서 편안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하지만 남들이 꺼리는 제3세계 구호사업에 뛰어들어 수많은 업적을 세워 나갑니다. 돈과 빈곤의 연결고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래서 그녀가 생애를 바친 구호사업은 물고기를 잡아 나눠 주는 역활이 아니라 물고기 잡는 법을 전수하여 각각에게 독립적인 경제생활을 이루게 하고 고용을 늘려나가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게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책에 언급된 두테림베레, 블루베이커리, 어큐먼펀드등은 그녀가 이룩한 수많은 업적들중 겉으로 들어난 일일뿐일 것입니다. 그녀가 완성시켜 나가려는 일은 모든이가 함께 어울려 살아 가며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상호 협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세계인이 깨닫게 하는 작업일 것입니다. 전혀 다른 풍습과 생각을 가진 이들과 수차례의 시행착오를 겪고 좌충우돌하며 사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이야기엔 정작 저자의 이야기보다는 함께하고 노력과 열정의 땀을 공유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서술하고 있어 더욱 공감이 갑니다.
우리는 종종 기업이 거둔 이익을 사회로 환원한다는 이야기를 메스컴을 통해서 듣곤 합니다. 기부와 자선을 무시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들이 있기에 저자도 각종 사업을 펼칠 수 있었으니까요. 하지만 주면 그만이라는 생각보다는 어떻게 하면 좀 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자원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가난은, 빈곤은 부유함에 필연적으로 따라 다니는 현상입니다. 그것이 절대적이든 상대적이든 외면한다고 없어 지는 것이 아니라 부를 가진 이들이 관심을 가지고 눈여겨 보아야 할 상대일 것입니다. 죄도 아니고 동정의 대상이 되어서도 안 될 것입니다. '노블리스 오블리제'가 결여된 한국사회에서 빈곤이 관심의 덕목으로만 생각돼 있지만 저자와 같은 사랑의 관심이 있다면 세상은 변화의 시작을 알려 줄 것입니다.
어학연수 갔다와서, 사회봉사 점수 따고, 적당히 괘찮은 직장을 얻어 애낳고 살다가 병들어 죽는 삶이 가장 편하다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이 책을 읽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주식이나 부동산등으로 재테크하는 방법을 써놓은 책이 알맞을 것입니다. 하지만 가치있는 삶을 살아 보려 고민한다면 <블루 스웨터>는 여러분들에게 참 된 메시지를 전해 주리라 생각됩니다. 모두가 구호사업에 뛰어 드는 것만이 가치있다는 건아닙니다. 세상의 모든 숨쉬는 것들이 나에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고 '손에 손잡고' 자신의 꿈을 세상의 꿈으로 만들어 보려는 생각이 있다면 저자 재클린 노보그라츠의 삶에서 한번쯤 나자신의 미래를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어 금(金)으로만 지향한 삶의 후회를 줄일 수 있을것입니다.